글쓴이가 이해한 내용은 설정값을 가지고 있는 파일이고
여기에 저장된 값은 필요한 곳에 따라서 xml, Servlet, jsp에서 읽어드려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B 연동과 관련된 db.properties파일이라면 db연도에 필요한 접속 주소, 아이디, 비밀번호 등등을 저장하고 있다가 api를 이용하여 bean을 생성하는 xml파일 내부에서 db.porperties에 저장된 db접속 정보를 가져와 사용할 수 있다.
<context:property-placeholder location="classpath:test.properties" />
위 태그를 applicationContext.xml에 적용하면 해당 xml에서만 사용 가능하고
disptcher-servlet에서 선언하면 연결된 Controller에서 @Value로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
'개인 공부 상자 > 참고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링에서 AOP란? (0) | 2021.10.07 |
---|---|
스프링 컨테이너란? (0) | 2021.10.07 |
Security.xml와 태그 정리 (0) | 2021.10.05 |
applicationContext와 태그 정리 (0) | 2021.10.05 |
Spring내부 Tomcat과 외부 Tomcat차이 (0) | 2021.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