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편] 스프링 환경 구성[스마트인재개발원]
이 글은 Spring이라는 것을 처음 사용해 보거나 중간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들을 위해서 또는, 나중에 참고할 겸, 다른 사람 알려줄 겸 겸사겸사 적는다!!! 참고하실 분은 참고하세요!!
(지금부터 작성되는 내용은 '스마트인재개발원'에서 진행한 수업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먼저 프레임워크란 무엇인가!!
Java로 개발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 놓은 것이다.
개발하기 앞서 개발환경을 구축하고 개발을 진행하게 된다. 이때 매번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마다 또는 각 개발자마다 환경을 구성하게 된다면 상당한 시간 낭비이다. 따라서 개발환경을 구축해 놓고 이것을 공유하여 사용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먼저 교육용 표준 프레임워크를 다운로드하기 위해서는 아래 사이트로 들어가 압축 파일을 다운로드한다.
'스마트인재개발원'에서 교육 때는 선생님이 링크를 주셨기 때문에 따라서만 하면 되었지만 이제 혼자서 찾아 해야 한다!
교육자료 | 표준프레임워크 포털 eGovFrame
처리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주십시오.
www.egovframe.go.kr
위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압출을 풀어야 한다.
중요!!! 꼭 압축이 풀린 폴더에 경로가 C드라이브에 있어야 한다.
이렇게 압축을 풀고 나서 해당 폴더로 들어가 eGovframe.edu를 실행한다.
방금 실행시킨 이클립스가 프레임워크에서 사용하는 이클립스이다!!
보통에 이클립스와 다른 점은 거의 없는 거 같다!!
('스마트인재개발원'에서 수업으로 진행할 때는 실행되는 모든 이클립스는 서로 연결되어 있는 줄 알았는데 사실은 실행파일마다 따로따로 환경이 구성되는 거였다...)
우리에 목표는 Spring이다!! 따라서 새로운 프로젝트를 만들건대 Spring으로 만들어야 한다. 아래 사진을 보면서 따라 해 보자!
Project Explorer에 마우스 우클릭 new >> Other >> Spring폴더 내부 >> Spring Legacy Project를 선택한다.
이렇게 선택하게 되면 새로운 창이 뜨게 된다. 그다음은 아래 사진을 참고하자!
생성할 프로젝트 이름을 적어주고 Templates에서 Spring MVC Project를 선택하고 Next선택!!
[ 여기서 잠깐 이론 타임!! ]
MVC란?
MVC는 Model, View, Controller의 약자로 Controller에서 명령을 내려 Model을 통해 DB에서 정보를 가져오고 이 정보를 출력하는 것이 View이다.
'스마트인재개발원'에서 교육을 듣게 된다면 MVC구조에 대해서 더 자세하게 배울 수 있다!!
패키지명을 적는 칸이 있는데 여기서 주의!!! 패키지 레벨을 꼭 3단계로 만들어야 한다!! 각 패키지마다 ' . '(온점)으로 구분된다.
다 작성하였으면 맨 위쪽에 있던 경고가 사라지고 Finish버튼이 활성화된다!! Finish를 눌러 프로젝트를 생성해보자!
나는 알아보기 쉽게 level_숫자로 생성하였다.
이렇게 까지만 하면 일단 Spring 프로젝트가 생성되었다.
(이렇게 쉬웠으면 이렇게 글로 정리하지 않았지...)
혼자서 독학하면서 하나에 완벽한 환경을 구성하는데 1달은 걸렸을 것 같다!!
하지만 '스마트인재개발원'에서 수업으로 접해봤다는 게 정말 다행이다!
앞으로 이 Spring에서 DB와 연동하기 위한 방법을 2편에서 계속하겠다!
# 해당 수업은 '스마트인재개발원'에서 '지능형IoT 융합SW 전문가 과정(NCS) 과정'에서 진행했던 교육내용입니다.
스마트인재개발원
4차산업혁명시대를 선도하는 빅데이터,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전문 '0원' 취업연계교육기관
www.smhrd.or.kr